지구과학2의 고체 지구 단원에서는 태양계의 형성 과정과 지구의 형성 과정에 대한 내용부터 다룬다. 이에 이번 포스팅에서는 지구과학2의 시초인 태양계 형성과정에 대한 내용부터 정리해 보기로 한다. 태양계 형성 과정
지구과학2에서는 우주의 시작을 빅뱅 이론을 기반으로 설명하기 때문에 우주의 나이를 약 138억 년으로 보고 있다. 빅뱅 이후 우주가 팽창하면서 지금으로부터 약 46억 년 전 태양계 형성이 시작됐다.

출처 – 하이탑지구과학2(두산동아)
은하 나선 팔에 위치하는 거대 성운이 수축하면서 태양계 성운을 형성.약 46억년 전에 은하의 나선 팔에 있던 거대한 성운 주변에서 초신성이 폭발했고 이때 충격으로 성운이 수축하면서 태양계 성운이 형성된다.2. 납작한 원반 모양의 태양계 성운 형성 및 중심부에 원시 태양 형성.태양계 성운이 스스로의 중력에 의해서 회전하면서 수축되면서 각운동량 보존 법칙에 의해서 회전 속도가 상승한다.(각 운동량은 mrv(질량, 반경, 회전 각속도)이므로, 반경이 줄고 회전 속도가 상승한다.)이때 성운의 중심부가 모두 볼록하게 되는 원반 모양을 형성한다.그리고 중심부는 수축에 의해서 온도가 상승하는 수소 핵 융합 반응이 시작되면서 원시 태양이 형성된다.3. 원반부에 미행성체를 형성.원반부(주변부)에서는 성운의 온도가 하강하면서 회전하며 이때 원반에서 수많은 고리가 만들어진다.고리에는 먼지와 얼음 알갱이 같은 입자가 충돌, 집적하고 미행 성체를 형성한다.4. 미행 성체 충돌, 병합에 의해서 원시 행성 형성.미행 성체가 지속적인 충돌과 병합으로 성장하면서 중력으로 주변의 다른 미행 성체와 원반부의 물질을 모은다.이런 과정에서 미행성체의 크기가 약 1000km이상 성장하면 독자의 중력으로 구형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이런 상태에 도달한 미행성체를 원시 행성으로 분류한다.5. 태양계의 각 행성에 성장.만들어진 원시 행성은 각각 구성 물질 때문에 지구형 행성과 목성형 행성으로 분류된다.또 원시 행성에 성장하지 못한 미행성들 단체는 위성, 소행성, 혜성으로 분류한다.

지구형 행성, 목성형 행성
만들어진 태양계 행성은 지구형 행성과 목성형 행성으로 분류한다.지구형 행성 원시 태양 부근의 원반 안쪽은 강한 태양풍과 높은 온도로 인해 상대적으로 무거운 규산염, 철, 니켈 등의 무거운 물질이 집적되어 행성을 형성한다. 이로 인해 밀도가 높고 질량이 행성이 생기며, 이를 지구형 행성이라고 한다. 대표적으로는 수성, 금성, 지구, 화성이 있다.2. 목성형 행성 원반 바깥쪽은 상대적으로 가볍기 때문에 밀려난 기체와 얼음 입자가 집적돼 행성이 형성된다. 행성이 형성되는 과정에서 자체 중력이 어느 정도 생기면 주변의 가벼운 기체와 입자를 빠른 속도로 모으기 때문에 질량이 크고 밀도가 작은, 크기가 큰 행성을 만든다. 이런 행성을 목성형 행성이라고 한다. 대표적으로는 목성, 토성, 천왕성, 해왕성이 있다.

이번 게시물에서는 태양계의 형성 과정에 대해서만 간단히 정리했다. 다음 포스팅에서는 원시 지구에 대해 정리해 보기로 한다.

